본문 바로가기

국내 뉴스

"한국 천주교 성지화 사업의 진실: 역사 왜곡과 종교 간 갈등"

 한국 천주교의 성지화 사업은 신앙적 의미를 강화하고 역사적 유산을 기리기 위한 중요한 노력으로 포장되지만, 실제로는 역사적 왜곡과 종교적 편향성을 내포한 시도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특히, 외래에서 들어온 종교가 주요 문화의 중심이 되는 것은 이 과정에서 공공성의 원칙을 무시하고, 특정 종교의 이익을 위해 공공 자원을 재편성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왜곡된 시도는 종교 간 갈등을 심화시키고, 사회적 분열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 주민 및 관광객에게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성지화 사업은 종종 기존의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천주교적 해석으로 재구성하며, 이 과정에서 다른 종교나 문화의 가치를 소외시키거나 왜곡할 가능성이 큽니다. 예를 들어, 불교 사찰이나 역사적 사적지에 천주교적 의미를 부여하여 성지로 개발하는 경우, 해당 장소의 원래 역사적 의미가 훼손되거나 무시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공공 역사에 대한 왜곡일 뿐만 아니라, 다른 종교와의 공존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천주교 성지화 사업에 투입되는 막대한 예산은 또 다른 중요한 문제로 지적됩니다. 천문학적인 공공 자금이 특정 종교의 성지 조성에 집중되면서 종교 간 형평성 논란이 불거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소문 성지에 600억 원, 홍주 순교성지에 200억 원 이상이 투입되는 등 각 성지화 프로젝트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예산의 편중은 다른 종교나 공공 프로젝트에 대한 자원 배분의 불균형을 초래하며, 이는 사회적 갈등을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천주교의 성지화 사업이 모든 순교지를 성지로 만드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순교지의 성지화는 신앙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지만, 이러한 접근이 무분별하게 확산되면 잘못된 종교관을 퍼뜨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모든 순교지를 성지화하는 것은 특정 종교의 역사적 서사를 절대화하며, 다른 종교와의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성지화 사업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공공성과 역사적 객관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한국 천주교의 성지화 사업에서 주목할 만한 몇 가지 사례를 통해 문제점을 살펴보겠습니다.

한국 천주교 발상지인 광주시 퇴촌면 천진암에서 지난 40여년 동안 성지 성역화 사업을 하면서 창고로 지은 불법건축물을(원안 사진) ‘천진암 박물관’으로 홍보하는 등 각종 불법행위가 드러나고 있다. (이미지출처- 경기일보)

1. 주어사와 천진암

주어사와 천진암은 원래 불교 사찰이었으나, 현재는 한국 천주교의 발상지로 성지화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불교와의 역사적 연관성이 무시되었고, 천주교 성지로 재해석되면서 원래의 불교적 의미가 훼손되었습니다. 특히, 주어사에서 출토된 불교 유물인 해운대사의징비가 무단으로 서울의 천주교 성당으로 반출된 사례는 천주교의 성지화 과정에서의 역사적 왜곡과 종교 간 갈등을 부추기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2. 서소문 성지

서소문 성지는 원래 역사적 처형터로, 여러 종교적 핍박의 현장이었습니다. 그러나 천주교는 이곳을 성지로 개발하면서 서소문역사공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여 성지 조성의 목적을 위장했습니다. 이로 인해 타종교와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일어났으며, 종교적 성스러움보다 공공성을 무시한 성지화 사업의 대표적 사례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3. 해미읍성

해미읍성은 원래 조선 시대의 군사 요새였으나, 천주교의 성지로 재해석되어 순교 사적지로 개발되었습니다. 이 성역화 과정에서 천주교적 시각으로만 역사가 재구성되었으며, 다른 역사적 맥락이나 원래의 공공적 의미는 간과되었습니다. 이러한 성지화는 천주교의 역사적 정당성을 강화하는 반면, 공공 역사에 대한 왜곡과 종교 간 갈등의 소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4. 홍주 읍성

홍주 읍성의 복원 과정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나타났습니다. 천주교 순교 사적지로 개발된 이곳은 원래 조선 시대의 군사 요새였지만, 천주교의 역사적 맥락을 강조하면서 다른 역사적 의미가 소홀히 다루어졌습니다. 이러한 성지화 사업은 공공 자원과 예산이 특정 종교에 치중되는 결과를 낳아, 종교 간 형평성 문제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특정 종교의 관점만을 반영한 성지화는 사회적 분열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현대 사회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성스러운 장소로서의 의미를 갖는 것은 중요하지만, 그 과정에서 다른 역사적 맥락과 종교적 다양성을 무시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