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외뉴스

프란치스코 교황의 AI 우려: 기술에 대한 두려움과 기회의 균형

프란치스코 교황이 최근 인공지능(AI)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이 기술이 진실을 위협할 수 있다는 경고를 내놓았다. 교황의 발언은 많은 이들에게 기술 발전에 따른 윤리적 고민과 사회적 영향을 성찰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그러나 그의 발언을 깊이 들여다보면, 기술 자체에 대한 불신과 경계가 내포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제기된다

교황의 경고 "AI 때문에 '진실의 위기' 악화 가능성" 2025년 01월 24일 11시 34분 출처: 사이언스 투데이


교황이 제기한 우려는 타당한 측면이 있다. 모든 혁신은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한 고민을 동반해야 하며, 기술은 그 자체로 선하거나 악하지 않지만, 사용 방식에 따라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교황이 AI에 대해 "면밀한 감독"과 "적법한 주의"를 촉구하는 태도는 기술 자체를 경계하고 두려워하는 방향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과연 우리가 진정 경계해야 할 대상은 AI와 같은 기술 그 자체일까, 아니면 이를 사용하는 인간의 의도와 태도일까?

과학에 대한 두려움의 뿌리
교황의 태도는 단순한 우려를 넘어선다. AI와 같은 첨단 기술에 대한 지나친 경계는 과학적 발전이 기존의 사회적, 윤리적 질서를 흔들 수 있다는 두려움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다. 역사적으로 종교는 과학의 발전과 충돌하며, 그 과학이 기존의 신념 체계를 위협한다고 느낄 때 방어적인 태도를 취해왔다. 갈릴레오의 천문학적 발견이나 진화론에 대한 반발은 이러한 경향을 잘 보여준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서 과학과 기술은 인류의 삶을 개선하고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다. AI는 암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기후변화 대응에 필요한 데이터를 분석하며,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는 등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무시하거나 폄하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며, 기술의 긍정적인 영향을 외면하는 태도에 다름 아니다.

AI는 위협이 아닌 기회
교황은 AI가 인간의 역할을 위협하고 진실을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다고 경고했지만, 이는 기술의 본질을 오해한 것처럼 보인다. AI는 그 자체로 윤리적이거나 비윤리적이지 않으며, 단지 도구일 뿐이다. 그 도구가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는 전적으로 인간의 선택과 활용 방식에 달려 있다. 진실을 위협할 수 있는 것은 AI가 아니라, 이를 악용하거나 잘못 사용하는 인간들이다.

AI는 오히려 우리가 진실에 더 가까워질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분석 능력을 통해 객관적 사실을 파악하고, 정보의 정확성을 검증하며, 더 나은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 교황이 우려하는 ‘진실의 위기’는 AI 자체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기술을 사용하는 인간의 의도와 무책임한 태도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집중해야 할 문제는 AI를 무조건 경계하거나 배척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과학과 종교의 협력 필요
종교와 과학은 오랜 시간 동안 대립해 왔지만, 이 둘은 상호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다. 종교는 인간의 내면적 삶과 도덕적 방향성을 제시하며, 과학은 그 도구와 방법을 제공한다. 이 둘이 협력할 때 인류는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종교는 AI와 같은 기술이 인간에게 윤리적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맡아야 한다. 그러나 교황의 이번 발언처럼 기술 자체를 문제 삼고 경계하는 태도는 오히려 과학과 종교 간의 협력 가능성을 좁히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AI와 같은 첨단 기술은 단순히 두려워할 대상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마주한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는 도구다. 이를 무조건 경계하기보다, 과학과 종교가 함께 손을 잡고 기술을 어떻게 윤리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논의해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진보의 시작이 될 것이다. 진정한 진실은 기술이 우리에게 주는 기회를 두려워하지 않고, 그것을 현명하게 활용할 때 비로소 발견된다.